마음 23

비전보드, 삶을 시각화하는 힘

비전보드란 무엇인가?흔히 사람들은 방향을 잃었을 때 나침반을 찾는다. 현대인의 삶에서도 마찬가지다. 빠르게 변화하는 사회 속에서 ‘나는 어디로 가고 있는가’라는 질문은 우리 모두가 반복해서 던지는 본질적 질문이다. 이 질문에 명확한 답은 잘 알지 못하기에 답을 향해 한 걸음씩 다가갈 수 있는 도구가 있다. 바로 ‘비전보드(Vision Board)’이다. 비전보드는 말 그대로 자신의 비전(vision)을 보드(board) 위에 시각적으로 표현한 것이다. 목표, 꿈, 삶의 방향 등을 이미지와 문장으로 시각화한 이 도구는, 단순한 콜라주를 넘어서 삶의 지도와도 같은 역할을 한다.비전보드는 왜 강력할까? 그 이유는 심리학적인 시각화 기법에서 찾을 수 있다. 뇌는 시각적 자극에 민감하게 반응하며, 반복적으로 노출..

마음 2025.06.19

스마트폰 중독, 스마트기기에 갇힌 아이들

디지털 시대의 역설나는 어린 딸아이에게 일찍부터 스마트 기기를 노출시킨 사람들 부류의 한 사람이다. 어차피 이 세대는 스마트 기기를 자신의 수족처럼 여기며 살아가야 할 세대라고 생각했고, 스마트 기기가 주는 이점이 더 많을 것이라고 생각했다. 하지만 최근의 여러 자료에 의하면 스마트 기기로 인한 어린 세대들의 문제점들이 속출하고 있음을 알게 된다. 스티브 잡스 조차도 집에서 아이들이 아이패드나 아이폰을 사용하지 않으며, 기술 사용을 강하게 제한했다고 한다.오늘은 미국의 사회심리학자 조너선 하이트(Jonathan Haidt)의 『불안 세대: 디지털 세계는 우리 아이들을 어떻게 병들게 하는가』라는 책을 통해 스마트 폰 중독에 대한 부분을 살펴보고 그 경각심을 가져보도록 하자. 이 책은 단순한 주장이나 경고를..

마음 2025.06.18

외로움과 고독, 외로움을 고독으로 전환하는 6가지 방법

어린시절의 기억어린시절 내가 뛰어 놀았던 골목길은 그리움의 대상이다. 골목길을 지나면 조그만 공터가 있었고 그 공터에는 같이 놀 수 있는 여러 명의 친구들이 있었다. 그곳에서 그 친구들과 함께 구슬치기, 딱지치기, 비석치기 등의 놀이를 하고 놀았다. 적어도 나에게 있어 외로움이나 고독과 같은 단어의 느낌은 성인이 되고 나서야 비로소 알게 되었다. 지난 시절에 대한 얘기로 어떤 주제를 시작하게 되면, 젊은 세대들에게 꼰대 취급을 받을 수 있다. 조선시대 권위만 앞세우는 사대부가 되지 않기 위해서는 약간의 주의가 필요하다. 또한 혼자만의 생각에 갇히지 않기 위해서도 노력이 필요하다. 요즘 세대들에게 익숙한 놀이터라는 개념 역시, 시간이 흐르면 동일한 목적으로 기억 될 것으로 생각된다. 최근의 조사에서 놀이터..

마음 2025.06.17

인내와 절제, 도넛을 참아낸 소년

가난한 땅에서 피어난 이야기인내와 절제에 관련된 자료를 보다가 필리핀의 전설적인 복서 매니 파퀴아오(Manny Pacquiao)에 대한 자료를 보게 되었다. 우리 나라에는 덜 알려져 있지만, 매니 파퀴아오는 인간의 한계라는 5체급을 뛰어넘어서 8체급을 석권한 권투선수이다. 정치에 입문하여 정치인으로도 활동하고 있는 그의 삶은 필리핀 사회에 좋은 영향력을 주고 있다.그는 자신의 자서전에서 어린 시절의 배고픔과 유혹, 그를 넘어서는 인내의 순간들을 생생히 전하고 있다. 특히 그가 도넛을 팔던 이야기는 한 인간의 절제력과 정신력이 어떻게 만들어지는지를 보여주는 상징적인 에피소드로 남는다. 어떠한 경우에도 구걸을하지않았다.어려운시기에도 어머니께서는 구걸은 옳지않은 거라며 경고하셨다노동이 첫 번째이며, 기도는 두..

마음 2025.06.17

죄책감에 빠졌을 때, 나에게 해줄 수 있는 말 10가지

죄책감, 누구에게나 일어날 수 있는 감정세상을 살아가다보면, 죄책감이란 감정이 스스로를 힘들게 할 때가 있다. 어떤 말, 행동, 결정이 누군가에게 상처가 되었을 때, 혹은 스스로의 도덕적 기준을 어겼다고 느낄 때 마음속에 묵직하게 자리 잡는 감정이다. 죄책감은 때로는 성찰의 기회를 주기도 하지만, 지나치게 되면 스스로를 갉아먹는 독으로 작용할 수 있다.이 글에서는 심리학적 관점에서 죄책감의 정의와 기능, 수치심과의 차이점, 그리고 죄책감을 건강하게 다루기 위한 위로의 말들을 살펴보고자 한다.심리학적으로 본 죄책감의 정체1. 죄책감의 정의심리학자 바우마이스터(Roy Baumeister)와 로이스(Lois)의 연구에 따르면, 죄책감은 ‘자의식적 감정(self-conscious emotion)’에 해당하는 정..

마음 2025.06.15

트라우마, 마음이 멈춘 시간

개와의 이별, 그리고 멈춰버린 마음 초등학교 저학년 시절, 나는 한 마리 개를 돌보게 되었다. 어떤 분의 개인 사정으로 인해 그분이 기르던 골든 리트리버가 우리 집으로 오게 된 것이다. 제법 큰 덩치인데 온순했고 사람을 잘 따랐다. 매일 같은 시각에 그 개를 산책 시키는 것은 나의 일과 중의 하나가 되었다. 시간이 지나면서 그 개에 대한 애정이 생겼고, 말은 통하지 않았지만 동물과 소통하고 있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그러던 어느 날, 끔찍한 일이 벌어졌다. 산책 도중, 나의 실수로 개가 차에 치이는 사고가 발생한 것이다. 사고를 낸 차량은 영업용 택시였고, 운전자는 여성 기사 분이였다. 울면서 택시 기사분 쪽을 바라 보니, 그 기사님도 한쪽 모퉁이에서 힘없이 않아 있었다. 한 손에 박카스를 들고 슬픈 눈..

마음 2025.06.14

열등감, 열등감 극복방법

열등감, 우월의식의 다른 얼굴 중국회사와 같이 협업으로 프로젝트를 진행 할 때 일이다. 우리 팀의 한 직원이 몹시 힘들어 보여서 이유를 물으니, 중국회사의 팀원 중의 한 명과 같이 일하면서, 심한 위축감이 들어서 마음이 너무 힘들다고 했다. 그 중국 팀원은 이름만 들어도 알 만한 명문대에서 박사학위를 받은 인재였고, 젊고 자신감에 차 있어 보였다. 반면, 우리 쪽 팀원은 상대의 능력 앞에 마음이 위축되어 스스로가 초라하게 느껴졌던 모양이다.나는 학위나 배경은 단지 전문적인 훈련의 깊이를 보여주는 것이지, 그 자체가 사람의 가치를 판단하는 잣대가 될 수 없다고 조언했다. 그 팀원은 고개를 끄덕이며 수긍을 하는 듯 했지만, 실제로 문제는 그것으로 끝이 아니였다. 그는 중국회사의 그 팀원으로 부터는 심한 마음..

마음 2025.06.13

장마철 대비 - 장마와 우울감, 그 미묘한 심리의 흐름

장마가 불러오는 마음의 풍경장마가 평년보다 일찍 시작 된다고 한다. 모처럼 이번 주말에 운동을 좀 해볼까 생각했는데, 날씨가 따라 주지 않는다. 사람들속에 섞이는 것이 부담스럽다고 얘기하는 어떤 후배는, 비가 오는 날은 외부 할동을 자제한다고 했다. 이처럼 정적인 실내 활동을 선호하는 부류는 비가 오는 날, 집에서 음악을 들으면서 조용히 쉬는 것을 좋아 한다. 이들은 대체로 감성이 풍부하고 정서적 몰입을 좋아해서 장마철을 호우시절(好雨時節)이라 칭하며 정서적 안정감을 느낀다.하지만, 반대로 비가 내리는 날 기분이 다운되고, 의기소침해 지는 부류들이 있다. 습한 기운에 답답해 하고 예민해 져서 어디로 튈지 모르는 팝콘같은 사람들도 있다. 대체적으로 전자보다는 이 유형의 사람들이 더 많을 거라고 생각된다. ..

마음 2025.06.12

중독, 중독의 덫에서 벗어나기

중독이란 무엇인가 : 뇌를 사로잡는 보이지 않는 사슬중독이란 특정 행위나 물질 사용을 반복적으로 하게 되어, 그것이 삶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침에도 불구하고 조절하거나 멈추지 못하는 상태를 의미한다. 중독은 단순한 습관 이상의 것으로, 뇌의 보상 시스템에 깊은 영향을 미치는 신경생물학적 질환으로 이해해야 한다. "왜 끊지 못할까?"라는 질문 앞에서 우리는 자주 무력함을 느낀다. 중독(addiction)은 단순한 습관이나 나쁜 취향을 넘어서, 인간의 의지와 뇌의 작동 방식 전체에 영향을 미치는 깊고 집요한 문제다. 중독이란 특정 물질 사용이나 행동을 반복하게 되고, 그로 인해 삶의 여러 영역(건강, 관계, 직업, 자존감)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는데도 불구하고 그것을 스스로 조절하거나 멈출 수 없는 상태를 말..

마음 2025.06.11

앵커링, 마음을 고정하는 심리적 닻

마음을 움직이는 보이지 않는 고리, 앵커링우리는 살아가면서 눈에 보이지 않는 ‘고리’에 의해 감정이 달라지고, 행동이 변하고, 선택이 뒤바뀌는 경험을 종종 한다. 뚜렷한 이유 없이 어떤 노래를 들으면 눈시울이 뜨거워지고, 어떤 장소를 지나칠 때면 이유 없는 두근거림이나 불안함을 느끼게 되는 순간들 말이다. 심리학에서는 이러한 반응을 ‘앵커(Anchoring)’이라고 부른다. 이는 단순한 감정의 연상이 아니라, 어떤 자극과 감정 혹은 반응이 깊게 연결되어 뇌리에 고정되는 심리적 현상을 말한다.이 글에서는 앵커링이란 무엇인지, 어떻게 작동하는지, 우리 삶에 어떻게 적용할 수 있는지, 그리고 주의할 점은 무엇인지 자세히 살펴보고자 한다.1. 앵커링이란 무엇인가?심리학에서는 앵커(anchor)는 배가 흔들리지 ..

마음 2025.06.11